With Lowkey  다중 협업으로 제작된 예술, 기술을 활용한 뉴미디어 아트 프로젝트

2023~2024 Projects :  닿을 때 만나는 것들


  우리는 누구와,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가. 나는 나 이외의 것들과 어떻게 공존하는가? 우리는 내가 아닌 존재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는가, 또 어떤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가. 관람객은 기술언어로 구현된 소리, 형상, 파동을 통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작품, 그리고 공간과 상호작용을 경험한다. 스쳐지나가는 순간 한 화면에 구현되는 이미지는 타인과 같은 공간에 존재함과 동시에 랜더믹한 사운드와 함께 융합된 이미지로 재탄생하게 되고, 관람객은 우연히 생성되는 타인과의 관계성을 마주한다. 관객과 작품, 관객과 관객 사이에 새롭게 구축되는 연결고리를 통해 공존하는 현상 자체를 체화하며 “존재함” 그 자체로 발생되는 공동체성에 대한 감각을 일깨운다.


- 기획 : 권정원 

- 예술감독 : 소수정 

- 터치디자이너 및 유니티 : 김창수

- 유니티 및 AR App 개발 : 현승철  

- 유니티 및 언리얼엔진 :  조소연

- 영상편집 : 김경래

- 이머시브 사운드 협력 : 드림스케이프

 2024


<닿을 때 만나는 것들>

이머시브 사운드, VR


기획 : 권정원, 소수정

- Sound Team

총괄 : 소수정

Sound Artist : 소수정

Emmersive Sound System : 김태협

- Visual Team

총괄 : 권정원

3D 오브젝트 개발 (유니티) : 현승철, 조소연

Back Ground Design (언리얼엔진) : 조소연

협력 : 드림스케이프

자문 : Silo Lab (박근호)


후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닿을 때 만나는 것들>

AR App


존재하는 그 자체로 서로가 감응하며 일시적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시작된 프로젝트 <닿을 때 만나는 것들>의 AR app. 내가 있는 공간 어디든 App을 통해 바라보면, 공간 안을 유영하는 플루이드 오브젝트가 나타납니다. 서로 만나 부딪히면 소리가 나타나는 Audio-Visual AR app을 통해 내가 잊고 지나치던 일상을 감각을 통해 일깨웁니다. 

 

- 기획 : 권정원

- 유니티 및 AR app 개발 : 현승철

- 사운드 아티스트 : 소수정 


후원 : 아트코리아랩, 예술경영지원센터 

<Hello My Dear>

video, 1min 30sec


여기와 저기, 그 사이를 흐르며 점멸하고 자유롭게 유영하는 파동 들. 빛으로 이루어진 파동은 어딘가에 일시적으로 모이고 흩어지는 사람들처럼 화면위를 흐른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된 소리없는 파동이자 유기적 연결체는 은평구민에게 보내는 빛으로 구사된 인 사이기도 하다. 일상을 보내는 가운데 지나치는 소리와 순간이 그러하듯 끊임없이 이어지고, 멈추며, 반짝임으로 구성된 화면은 일 상을 대체한 흐르고-연결되는 빛무리들을 통해 완성된다.


- 기획 : 권정원

- 터치디자이너 : 소수정

- 영상 편집 : 김경래


제작지원 : 은평문화재단 

후원 : 아트코리아랩, 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 은평문화재단, 자치구문화재단연합회 

교류 / 양천문화재단 

후원 / 서울문화재단

2024 New Image Festival, France


예술경영지원센터 슈퍼테스트베드 후속지원을 통해 프로젝트 Lowkey의 <닿을 때 만나는 것들>(2023)을 프랑스 뉴이미지 페스티벌의 Korean XR Focus 세션에서 소개했습니다. 사운드 비쥬얼 인터랙티브 작품인 <닿을 때 만나는 것들>(2023) 은 관객의 참여로 완성됩니다. #공존 #포용 이라는 키워드 아래 "우리는 누구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된 <닿을 때 만나는 것들>을 통해 자크 뤽 낭시가 말하는 무위의 공동체로서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마주할 수 있을까요.


예술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후원 : 아트코리아랩, 예술경영지원센터 

꿈다락 문화학교 

<숨, 호흡, 움직임> 

예술-기술 문화예술교육 


주관 : 프로젝트 Lowkey 

기획 : 권정원, 소수정

연구 및 개발 : 권정원(촉감), 소수정(청각), 안용세(움직임)  

기술감독 : 소수정  

터치 디자이너 : 소수정 

아두이노 센터 개발 : 김창수 

현장 기록 : 정다연

촬영 : 쿠로만타레이 

홍보 디자인 : 파인드 민 


협력 : 성북문화재단,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 

후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 개관전 

<상상과 연결>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 개관전 참여


기획 : 권정원
예술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Commission  : 성북문화예술교육센터 

관객참여형 미디어 아트 전시 

<숲, 호흡, 움직임>


기획 : 권정원

작품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개발협력 : 김창수


Commission  : 용인문화재단




 2023 


예술X기술 문화예술교육

<멜로디 산책>


워크숍 운영 예술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Commission  : 용인문화재단

<기술X예술공생 LAB 워크숍>


기술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시대에 예술과 교육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궁금증을 채워갈 수 있는 용인문화도시플랫폼 아카데미 <기술×예술 공생LAB>


초대해주신 분 : 임체스 

워크숍 운영 예술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김경래 


Commission  : 용인문화재단 

<닿을 때 만나는 것들> 랩들이


우리는 누구와,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가. 나는 나 이외의 것들과 어떻게 공존하는가? 우리는 내가 아닌 존재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는가, 또 어떤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가. 관람객은 기술언어로 구현된 소리, 형상, 파동을 통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작품, 그리고 공간과 상호작용을 경험한다. 스쳐지나가는 순간 한 화면에 구현되는 이미지는 타인과 같은 공간에 존재함과 동시에 랜더믹한 사운드와 함께 융합된 이미지로 재탄생하게 되고, 관람객은 우연히 생성되는 타인과의 관계성을 마주한다. 관객과 작품, 관객과 관객 사이에 새롭게 구축되는 연결고리를 통해 공존하는 현상 자체를 체화하며 “존재함” 그 자체로 발생되는 공동체성에 대한 감각을 일깨운다.


작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기술협력 : 김창수


후원 : 아트코리아랩, 예술경영지원센터

<닿을 때 만나는 것들> 쇼케이스


작가 : 프로젝트 Lowkey (권정원X소수정)

기술협력 : 김창수


제작 지원 : 아트코리아랩, 예술경영지원센터

Contact

Project Lowkey

info.project.lowkey@gmail.com

@project_lowkey